EU, 5G망 구축 협정문 체결...27개국 국경 없이 협력키로

5세대 이동통신(5G) 주도권을 둘러싼 전쟁이 세계 곳곳으로 번지고 있다. 세계이동통신공급자협회(GSA) 집계 결과, 5G를 준비하고 있는 통신업체는 지난해 9월 42국 81업체에서 이달 62국 134업체로 늘어났다. 특히 그동안 5G 경쟁에 소극적이었던 유럽 대륙도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외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10일(현지 시각) 국경에 상관없이 5G망 구축을 위해 서로 협력한다는 내용의 협정을 맺었다. EU 집행위원회(EC)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디지털 데이 행사에서 27회원국이 5G망을 구축하기 위해 이런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한 것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5G에 소극적이었던 유럽 통신업체들도 더 이상 경쟁에서 밀리면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 의식에서 태도를 바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유럽 "5G망 늦어지면 미래 산업 도태"


이번 EU 협정에 따라 EU 국가들은 국경에 상관없이 5G망을 깔고 새로운 서비스와 제품을 테스트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예를 들어 푸조시트로엥그룹(PSA)의 자동차 공장이 있는 스페인 서남단 도시 비고(Vigo)와 스마트시티로 변모하고 있는 포르투갈 북부 도시 포르투(Porto)를 잇는 도로에 5G망을 구축해 자율주행차 주행 테스트를 할 수 있다. 두 나라가 협력해 5G망을 깔고, 각 도시의 장점을 합쳐 산업 시너지를 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동안 유럽은 수익성을 이유로 5G망 투자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비록 EU가 2020년까지 전체 회원국에 5G 상용화를 하겠다는 내용의 로드맵을 지난 2월 확정했지만, 이는 우리나라나 미국•중국 등에 비해 상용화 목표가 1~2년 늦은 것이었다. 하지만 EU 내에서 "미국과 중국을 따라잡지 않으면 EU 산업이 도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5G망 구축을 서두르는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일고 있다. EU에서 탈퇴한 영국이 5G 조기 상용화를 예고하고 지난달 말 세계 최초로 5G용 주파수 경매를 시작하면서 위기감은 더욱 커졌다.

현재 유럽에서는 벨기에, 불가리아, 독일, 이탈리아 등 열두 나라가 5G 주파수 경매 방식을 논의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지난 2월 주파수 경매를 연내 실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자국 내 통신업체들이 5G 통신망을 공동 구축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투자 비용 절감과 함께 5G 상용화에 속도를 내려는 것이란 분석이다. 스위스 통신업체 스위스콤은 지난달 "올해 안에 스위스 인구 30%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5G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5G 조기 상용화를 선언했다. 정태명 성균관대 정보통신공학부 교수는 "5G 상용화가 빠르면 빠를수록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자율주행차, 가상•증강현실, 인공지능 등 관련 산업을 일찍 도입할 수 있다"면서 "5G망이 곧 국가 산업 경쟁력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 한국, 6월 5G주파수 경매 앞두고 신경전


우리나라는 내년 3월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목표로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정부가 본격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 주요 대도시부터 5G 서비스를 시작해 2022년까지 전국 망 구축을 모두 완료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 정부는 오는 19일 주파수 경매 방식을 발표한 뒤 6월쯤 통신 3사를 대상으로 주파수를 경매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주파수 경매를 앞두고 통신업계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5G 주파수 대역(3.4~3.7㎓)에서 당초 예상됐던 300㎒ 폭이 아닌 280㎒ 폭만 경매에 나올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주파수 간섭 현상 때문에 경매에 나올 주파수 대역 폭이 소폭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통신3사에 똑같이 100㎒ 폭이 돌아가지 못하고 한 업체는 80㎒ 폭을 받게 된다. 해당 통신업체는 5G 경쟁 초기부터 불리한 위치에 놓이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당초 정부가 '과거 경매와 달리 5G 주파수는 최저 입찰 가격을 최대한 낮춰 통신업체들이 망 투자와 서비스 개발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주겠다'고 했지만, 주파수 폭이 줄어들게 되면 통신3사가 한 치 양보 없는 주파수 확보 전쟁을 치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