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언석·구자근·김영식·정희용 국회의원 공동 개최..경북 산업단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산단 발전 정책 세미나 개최 

경북의 스마트 산업단지를 갖고 있는 국회의원들이 「경북 산업단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산단 발전 정책」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7월 7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개최되며 송언석(경북 김천시)·구자근(경북 구미시갑)·김영식(경북 구미시을)·정희용(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했다. 

특히 이날 세미나에는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와 이종배 정책위의장도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당 차원에서 산업활성화 지방경제 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예산지원과 당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주제발표는 ‘구미 스마트산단 활성화를 위한 한국판 뉴딜정책 방향’, ‘구미산단의 진화과정과 POST COVID19 시대 전략’을 주제로 노규성 한국생산성본부 회장과 이장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혁신전략연구소장이 각각 발제를 맡았다. 

이어서 장재홍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장을 좌장으로 김영호 구미중소기업협의회 회장, 김용채 산업통상자원본부 지역경제정책관, 서철헌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교수, 이승희 경북구미스마트산단 사업단장이 토론에 참여했다. 

△제1발제를 맡은 노규성 한국생산성본부 회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 중심 사회에서 디지털 기반 사회로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ICT 분야 최고수준 기술, 인프라를 보유한 우리 경제에 새로운 기회 창출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 역할과 선제적 투자전략 등으로 우리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K-Economy 정책 실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스마트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스마트산단 디지털화 지원 ▲스마트산단 운영 인력 양성 ▲청년 친화형 산단 인프라 조성 ▲혁신단지 조성 ▲비대면 신산업 육성 등 한국판 디지털 뉴딜 정책을 통해 실현해야 된다”고 말했다. 

△제2발제를 맡은 이장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혁신전략연구소장은 “구미 산단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정체기에 머물러 지금은 재활성화 혹은 쇠퇴기 기로에 진입해있다”고 지적하며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 영향이 심각한 만큼 구미 스마트산단 선정은 절호의 기회이며,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포스트코로나19시대 기술 결합을 통해 지역 혁신성장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미나의 공동 주최자인 송언석 의원은 “경상북도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구미 국가산업단지에 조성될 스마트산단을 중심으로 김천, 성주, 칠곡 지역의 산업단지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식 의원은 “경북지역에는 과거 수십년 간 대한민국 경제발전을 주도해온 제조업 기반의 산업단지가 다수 위치하여 있지만 산단의 노후화와 질적경쟁력 약화, 대기업 이탈 등 경제 여건의 어려움에 더해 산단 자체의 한계로 인한 지역의 어려움은 계속되고 있다”며 “스마트산단을 통해 기존의 산단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경쟁력을 끌어 올릴 수 있도록 국회에서 입법화와 예산확보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정희용 의원도 “경북 지역에는 경제·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새로운 모멘텀이 필요하다”며 “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밸류체인 다변화에 대응하여 소재·부품·장비분야 신산업을 육성하는 미래형 스마트산단 조성으로 성주와 칠곡을 비롯한 경북 지역의 산업단지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의 성장을 견인할 새로운 원동력을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구자근 의원은 “지난 8~90년대 경북은 대한민국의 경제발전과 산업근대화를 견인했는데 작금의 위상은 시설 노후화와 낮은 가동률, 기업들의 해외 진출 등으로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도약이냐 정체냐, 중대 갈림길에 서 있는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스마트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요건”이라며 “성공적인 스마트산단 조성과 경북 경제활성화를 위해 경북의 국회의원으로서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 산업단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산단 발전 정책 세미나」에는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 이종배 정책위의장, 장세용 구미시장을 비롯한 정부 및 학계, 유관기업, 기업관계자 등 약 5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