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그리드, 우수 R&D혁신제품 지정
이노그리드, 우수 R&D혁신제품 지정
  • 김태연 기자/조해리 기자
  • 승인 2020.08.10 15: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노그리드, 우수 R&D혁신제품 지정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기업 (주)이노그리드(대표이사 김명진)가 개발한 토종 클라우드솔루션 ‘클라우드잇(Cloudit)’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주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의 주관으로 열린 2020년 '우수연구개발(R&D) 혁신제품 지정제도' 인증서 수여식에 참석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고 11일 밝혔다.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과기정통부 R&D 과제를 통해 개발된 제품들 중에서 혁신성이 인정된 제품을 공공조달과 연계, 판로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다. 지정된 제품은 지정일로부터 3년 동안 혁신제품으로 인정되며, 정부·공공기관 등과의 공공조달에서 수의계약이 허용된다.

이번제도는 단순한 연구개발(R&D)이 아니라 혁신 친화적인 시장창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시작된 정책으로 유럽연합(EU)에서는 2000년대 이후부터 연구개발 성과를 사업화한 경우 공공조달과 연계하는 공공구매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Creating an Innovative Europe, EU Publications)하며 주요국에서 선제적으로 도입한 제도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상황과 정책 수요자를 고려해 관계부처(기재부·조달청등) 협의 및 정책대상(중소기업, 연구기관등) 의견수렴을 거쳐‘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제도’를 수립·추진해왔다. 

이번에 선정된 이노그리드의 토종 클라우드솔루션 ‘클라우드잇’은 이노그리드가 10여년 넘게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국산클라우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개발 및 서비스에 앞장서 왔다.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MSP사업, 국산서버기업들과 하드웨어는 물론 데이터기반 SaaS, PaaS등 협력체계를 마련해 4차산업혁명시대에 꼭 필요한 서비스 개발과 국산클라우드 에코시스템을 확장시켜 가고 있다. 이노그리드 클라우드기술은 외산 솔루션들과 달리 클라우드서비스에 필요한 원천기술과 풍부한 개발장비, 각종 보안인증, 네트워크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경험과 기회를 통해 실무중심형 인재 육성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올해 상반기 과기정통부 혁신제품 지정 제도에는 총 53개 제품이 접수되어 정부R&D 혁신기술 활용에 대한 기업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엄격한 심사를 통해 총 9개 제품의 개발 기업이 혁신제품 지정 인증서를 수여받았다.

당초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은 8월말 예정이었으나, 과기정통부는 코로나19 확산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심사기간 단축 등 국가 R&D 성과를 공공조달로 연계하는 패스트트랙 체계를 수립했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져 혁신적인 제품이나 서비스가 사회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기술혁신의 의미가 더욱 크게 다가온다”라며 “동 제도가 정부R&D 사업 연구성과의 초기시장을 창출하고, 공공조달과 연결되어 기업 판로구축에 도움이 되도록 종합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김명진 이노그리드 대표이사는 "국산 클라우드기술의 긍지와 자부심, 끊임없는 도전정신으로 토종클라우드솔루션을 10여년 넘게 한우물을 파며 전문성을 키워왔다”며 “이번 R&D 혁신제품 지정을 통해 다양한 공공 레퍼런스 확보를 통한 기업의 매출증대, 고용창출, 기술개발투자등 선순환을 통해 최고의 클라우드R&D 강소기업으로 발전시켜 나 갈 것”이라고 인증 소감을 밝혔다. 

한편, 언택트 문화의 지속적인 확산을 통해 코로나19를 넘어 공공 및 기업시장에 비대면 서비스와 업무 환경에 대한 투자 확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대비에 빅데이터 분석과 AI서비스를 연계해 이노그리드 클라우드 매트릭스 플랫폼(Innogrid Cloud Matrix Platform)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19를 대비해 콜센터의 안전한 업무환경을 클라우드기반 재택근무솔루션 다스잇(DaaSit)’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등 AI클라우드서비스를 고도화 시키며 공공시장을 위해 각종 보안인증 ‘보안기능시험결과서’,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도 착실히 준비중에 있다.

FINTECHPOST


[관련기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7길 19
  • 기사정정요청: press88only@daum.net
  • 애드버토리얼 아티클 : 광고문의 클릭 및 작성
  • 대표전화 : 010-3219-7524 (문자 수신용) 편집부장 조해리
  • 제호 : 블록체인밸리::No.1 Korea Blockchain & Fintech Media
  • 등록번호 : 서울 아 04281
  • 등록일 : 2016-12-15
  • 발행일 : 2016-12-15
  • 발행인·편집인 : 조흥훈(Harry_cho)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민
  • 블록체인밸리::No.1 Korea Blockchain & Fintech Media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3 블록체인밸리::No.1 Korea Blockchain & Fintech Media.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juaju123@naver.com(business proposal) / 보도자료는 press88only@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