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스타트업 동향] 심심이 이야기게임,에이모,위드메이트 外 
[IT 스타트업 동향] 심심이 이야기게임,에이모,위드메이트 外 
  • 김태연 기자/조해리 기자
  • 승인 2020.09.14 11: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T 스타트업 동향] 심심이 이야기게임,에이모,위드메이트 外 

▲ 에이모, AI 데이터 라벨링 협업 플랫폼 ‘에이모 엔터프라이즈’ 베타 서비스 오픈

AI 학습 데이터 라벨링 서비스 기업 에이모(AIMMO, 대표 오승택)가 웹 기반 AI 학습 데이터 라벨링 협업 플랫폼 ‘에이모 엔터프라이즈’의 베타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에이모 엔터프라이즈는 에이모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만 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나 개발자의 도움 없이도 바로 준비된 툴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UI로 구성된 에이모 엔터프라이즈는 AI 학습 데이터 라벨링이 필요한 기업, 기관, 개인이 ▲데이터 라벨링 프로젝트 설계 ▲작업자 초대 ▲학습 데이터 라벨링 ▲산출물 관리를 모두 직접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 AI 기업과 데이터 라벨링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최적의 업무 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 

특히 AI 학습 데이터 라벨링 프로젝트 관리자는 에이모 엔터프라이즈가 제공하는 다양한 템플릿과 기능을 활용해 바로 작업자를 초대해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어 데이터 라벨링 툴 개발과 작업자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이메일 주소만으로 데이터 라벨링을 같이 할 작업자를 초대할 수 있으며 대시보드를 통해 모든 작업자의 데이터 라벨링 현황과 데이터 정확도를 바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작업자가 동일한 기준에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도록 작업자 교육, 커뮤니케이션, 결과물 뷰어, 데이터 히스토리 복원 기능 등 작업자와 프로젝트 관리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것도 특징이다. 

그동안 내부적으로 AI 데이터 라벨링을 진행하며 쌓은 노하우를 집약한 만큼 이번 ‘에이모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오픈을 기점으로 AI 모델링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 가공의 정확도와 효율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이모 관계자는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 발표에 따라 AI 학습 데이터 라벨링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태”라며 “AI 학습 데이터 라벨링을 자체적으로 진행하고자 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 만큼 국내와 해외 AI 기업들에게 에이모 엔터프라이즈를 통해 쉽고 빠르고 정확한 AI 학습 데이터 라벨링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에이모는 자율주행, 로보틱스, 영상인식 등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AI 학습 데이터를 설계부터 검수까지 모두 전담해 정확성을 보장하는 ‘GTaaS’ (Ground Truth as a Service)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에이모는 GTaaS와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AI를 준비하는 모든 글로벌 기업들에게 최적화된 통합 솔루션을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 위드메이트, 병원 동행 사내 복지 서비스 1기에 애견 호텔 등 5개 업체 참여

병원 동행 서비스 매칭 플랫폼을 운영하는 ㈜위드메이트(대표 지승배)는 ‘병원 동행 사내 복지 서비스’ 1기에 참여할 기업 모집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위드메이트가 주관하는 병원 동행 사내 복지 서비스 1기에는 인테리어 시공사, 애견 호텔, 디자인 회사 등 총 5개의 업체가 참여한다.

위드메이트는 통원 치료, 입퇴〮원, 내시경, 투석 등의 의료 활동을 위해 보호자 동행이 필요한 수요자와 전문 동행인을 자동으로 매칭하는 플랫폼을 운영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기업이다.

위드메이트 플랫폼에서는 동행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과 전문 동행인이 간편하게 매칭될 수 있다. 서비스 수요자가 회원 가입 후 서비스 신청을 하고, 전문 동행인이 접수된 신청을 검토한 후 매칭 버튼을 클릭하면 예약이 완료된다. 서비스 시작부터 종료까지 모든 과정이 카카오톡 알림을 통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고, 진찰 결과와 복약 지도 등의 내용이 포함된 사후 리포트까지 제공된다.

위드메이트 지승배 대표는 “가족을 돌봐야 한다는 책임감, 그 중에서도 병원 치료를 요하는 가족에 대한 간병 스트레스로 인해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는 직장인이 많고 나도 그 중 하나였다”며, “이러한 상황에 놓인 직원에게 사내 복지의 일환으로 가족의 병원 동행 서비스를 지원한다면 간병의 압박감에서 벗어나 업무 효율성이 증대되고, 재충전을 위해 필요한 휴가 시간이 간병을 위한 또 다른 일 때문에 사용될 일이 줄 것 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또한 지승배 대표는 “사내 복지 형태의 병원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첫 단계인 만큼, 규모가 있는 중견 이상의 기업을 배제했다”며 “기약 없고 무의미한 업무 협약을 남발하는 대신 확실하게 서비스 데이터를 축적하고 그에 따른 신속한 개선이 가능한 소기업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 심심이㈜, 심심이 이야기게임 공모전 진행

AI 챗봇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 일상대화 챗봇전문기업 심심이㈜가 오는 9월 29일까지 ‘심심이 이야기게임 공모전’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심심이㈜는 13주 간 매주 심사 및 ‘금주의 작가’를 발표하며, 10월 5일 이후 ‘대상’을 발표할 예정이다. 

업체 측은 그 동안 심심이 앱을 통해 많은 분들이 즐겨 온 이야기게임을 이제 심심이 홈페이지 이야기게임 만들기 화면에서 누구나 자신만의 이야기게임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야기게임 만들기 기능 출시를 맞아 매주 우수 작가를 선정하는 공모전을 진행하며, 대상 수상작에게는 상금 100만원, 매주 금주의 작가로 선정되면 심심이 오가닉 인형 등 심심이 굿즈 및 상품화 우선권을 제공한다고 소개했다. 

심심이 이야기게임은 재미와 맥락을 강화시켜 줄 컨텐츠 플랫폼으로써 2002년부터 사용자들은 심심이를 통해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가르치기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좋은 아이디어들이 많이 있었지만 일반 가르치기를 통해 만들어진 컨텐츠의 한계로 따라가기 어렵고,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말들이 중첩되면서 맥락이 유실되어 끊기게 되었다. 

심심이㈜ 측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완결된 구조를 쉽게 만들어 내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를 제공하고자 노력했고, 지금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동영상, 웹툰, 웹소설의 노동집약성 대신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메모하듯 간단하게 작성하면 짧은 시간에 하나의 게임을 만들 수 있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심심이(주) 최정회대표는 “작가는 아이디어를 전개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스토리텔링에 재능 있는 크리에이터들이 모여드는 플랫폼으로 점차 발전시켜 성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심심이는 이번 이야기게임 이벤트를 통해서 보다 재미있는 story factory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사용자 참여중심의 서비스로 확대 발전할 계획이다. 심심이 이야기게임 공모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심심이 홈페이지 및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Notice. '투데이 IT 동향'은 해당 일방의 보도자료로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신뢰할만한 취재원 또는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구성,일부를 삭제,편집하였으나 해당 정보의 사실이 확인되었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시장 동향 흐름을 파악하는데 참고자료로만 활용할 수 있습니다. 

Notice. '투데이 IT 동향'은 해당 일방의 보도자료로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신뢰할만한 취재원 또는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구성,일부를 삭제,편집하였으나 해당 정보의 사실이 확인되었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시장 동향 흐름을 파악하는데 참고자료로만 활용할 수 있습니다.  

FINTECHPOST


[관련기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7길 19
  • 기사정정요청: press88only@daum.net
  • 보도자료 등록 전용 : press@fintechpost.co.kr
  • 대표전화 : 010-4965-4068 (접수담당-문자수신전용)
  • 제호 : 블록체인밸리::No.1 Korea Blockchain & Fintech Media
  • 등록번호 : 서울 아 04281
  • 등록일 : 2016-12-15
  • 발행일 : 2016-12-15
  • 발행인·편집인 : 조흥훈(Harry_cho)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민
  • 블록체인밸리::No.1 Korea Blockchain & Fintech Media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3 블록체인밸리::No.1 Korea Blockchain & Fintech Media.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juaju123@naver.com(business proposal) / 보도자료는 press88only@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