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ngle Research]  5달동안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103조원 ↑…해외보다 알트코인 거래 활발
 
공시 데이터 기반 가상자산 정보포털 쟁글은 체인애널리시스와 공동으로 집필한 <한국 가상자산 시장 보고서>를 통해 주요 4대 거래소의 지난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간 누적 거래대금이 103조원에 육박했다고 밝혔다. 이는 4대 거래소의 누적거래대금 총합이므로 전체 거래대금은 이를 상회한다.

◇ 5달 동안 거래대금 103조원…해외보다 알트 비중 높고∙디파이 붐에 편승하지 않은 디커플링 현상

국내 4대 거래소의 올 6월 1일부터 10월 27일까지 가상자산 거래대금은 총 102조 7,000억원에 달하는것으로 집계됐다. 빗썸 43.4조원, 업비트 41조원, 코인원 17.5조원 등이었다.

한국 내 트레이딩이 가능한 가상자산 개수는 260개 이상이며, 이들 중 한국 프로젝트 비중은 33%에 달한다. 나머지 67%는 해외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국내 거래량 Top 10을 차지하는 한국 프로젝트는 TMTG, ANW, FLETA, KLAY, AHT, EGG, MLK, BORA, GOM2, FCT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요 4대 거래소에 상장된 프로젝트 중 지난 5개월동안 실제 거래가 체결된 프로젝트는 코인원 130개, 빗썸 116개, 업비트 105개, 코빗 23개였다. 이는 각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프로젝트 개수가 아니라, 실제 매수-매도 거래가 체결된 코인 개수만을 집계한 수치다.

올해 한국 시장의 투자 트렌드는 해외보다 △알트코인 투자 비중이 높고 △디파이 붐이 일었던 해외와 달리 디파이 토큰 상장 및 투자가 미진했다는 점이었다. 국내 4대 거래소의 전체 거래량 중 비트코인 비중은 15%에 그쳤지만, 글로벌 시장에서의 비트코인 비중은 26%에 달했다. 한국 시장은 해외보다 비트코인 거래 비중이 낮고, 알트코인 거래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에서 2분기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디파이 토큰 상장 및 거래 비중 또한 국내는 높지 않았다. 국내 디파이 토큰의 상장과 누적 거래대금은 각각 11.5%, 5.96%에 그쳤다.

◇ 빗썸∙쟁글 등 국내 가상자산 전문가 “과거 투기적 성향에서 성숙해지는 단계 접어들고 있다”

이번 리포트는 또 가상자산 업계 내 국내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다. 이들은 최근 한국 가상자산 시장의 특징으로 “고위험 고수익을 노리던 성향에서 금융의 한 영역으로 인정받는 등 성숙해지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 관계자는 이번 인터뷰에서 “작년까지 고위험 고수익을 노리는 투자자에게만 관심받는 영역에서 2020년에는 금융의 한 영역으로 인정받기 시작했고, 정부/금융당국도 과거와 달라진 태도로 시장을 대하고 있다”며 올해 한국 시장 특징을 꼽았다. 그는 또 “내년 특금법 개정안이 발효되면 검증되지 않은 거래소들이 난립하는 현재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 전개될 것”이라며 “금융당국이 금융기관을 규제하는 프레임을 선도적으로 도입하고, 블록체인/가상자산 기반의 다양한 금융사업으로 영역을 확살하겠다”고 향후 성장 전략을 밝혔다.

공시데이터 기반 가상자산 정보 포털 쟁글 관계자는 “과거 투기적 성향에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해 의사결정을 하는 방향으로 시장이 조금씩 고도화되고 있다”며 “실제 쟁글 사용자들의 성향을 보면 공시, 리서치, 감사 결과 등 정보 기반 컨텐츠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한국 투자자는 물론 거래소까지 양측에서 시장 성숙도가 동시에 높아지고 있다”며 “거래소들은 단순 거래 기능을 넘어서 실질적인 정보 투명성 제공 및 검증에 대한 절차를 강화하는 추세다”고 덧붙였다.

블록체인 분석 기업 체인애널리시스 관계자는 “한국에서의 온체인 활동은 소액거래, 개인거래 보다 대규모 온체인 전송이 주도하고 있으며, 온체인 도입 지수 글로벌 17위를 기록하는 등 한국은 향후 지속 성장할 강력하고도 전문적인 시장”이라며 “한국의 가상자산 자금세탁방지에 대한 준비로 잠재 비용이 많이 들겠지만, 이로 인해 자금세탁 및 사기 등 불법 활동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