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인코드와 관계없는 ‘보도자료’

– 가상자산 범죄 중 가장 큰 비중 차지한 스캠(Scam) 피해액 9조원… 전년대비 81% 증가

– ‘진도지’, ‘스퀴드’ 사례로 알려진 러그풀(Rug pull) 유형 작년 1%에서 37%로 가파른 증가

– 체이널리시스, 전 세계 가상자산 범죄 분석한 ‘2022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 발표 예정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기업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com, 한국지사장 백용기)는 오늘 가상자산 범죄를 분석한 ‘2022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의 일부분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상자산 범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범죄 유형은 스캠(scam)으로, 특히 스캠의 새로운 형태인 러그풀(Rug Pull·먹튀)이 가상자산을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1년 스캠 범죄 피해액은 총 77억 달러로, 2020년보다 81%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새롭게 출현한 러그풀은 디파이(DeFi) 생태계에서 볼 수 있는 유형이라고 분석했다. 러그풀은 개발자가 사용자들의 자금 모집, 가짜 투자 기회 제공 등 합법적으로 보이는 새로운 토큰과 관련된 가상자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중도에 이를 포기하여 토큰 가치를 떨어뜨리는 방식을 의미한다.

2020년 전체 가상자산 스캠 피해액의 1%에 불과했던 러그풀은 2021년 전체 스캠 피해액의 37%(28억 달러 이상)를 차지하는 등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러그풀은 쉽게 새로운 토큰을 만들어 탈중앙화 거래소에 상장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체이널리시스는 모든 러그풀이 디파이에서 시작되는 것은 아님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스캠 수가 증가할수록 스캠의 평균 활동 기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자금을 수신한 스캠 수는 2020년 2,052개에서 2021년 3,300개로 크게 증가했지만, 평균 활동 기간은 2020년 192일에서 2021년 70일로 짧아졌다. 이는 스캠을 수사하고 기소하는 조사관의 역량이 발전함에 따라 스캠 범죄자들이 압박을 받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한편, 체이널리시스는 2021년 7월까지 러시아에서 활동한 피니코(Finiko) 폰지 사기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피니코는 약 19개월 동안 활동하면서 800,000건이 넘는 입금을 통해 15억 달러가 넘는 비트코인을 수신했음을 체이널리시스 솔루션을 통해 분석했다. 스캠과 비슷하게 주요 거래소의 피해자의 주소에서 자금을 수신했지만 러시아 기반 자금 세탁자에게도 자금을 받았다고 확인됐다.

백용기 체이널리시스 한국 지사장은 “국내에서 ‘진도지코인’과 ‘스퀴드코인’으로 대표되는 러그풀 스캠이 전체 스캠 피해 중 3분의 1가량으로 밝혀졌다”며, “가상자산 투자자는 해당 가상자산의 정보를 면밀히 살피고 제3자의 감사를 받았는지, 개발자 신원이 명확하게 공개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개발자가 지나치게 많은 물량을 갖고 있는지도 꼭 봐야할 요소다”라고 밝혔다.

※ 간편 복리 계산기 [▶ 바로가기]

※ 단순 개인 블로그인 코인코드는 해외 소식을 의역 & 참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코인코드는 팩트에 기반하지 않으며,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인코드는 투자 판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참고하세요. 빠른 소식들은 각 코인들 트위터나 미디움을 활용하세요.

※ 오타를 발견하신 분들은 그날 하루 행운이 가득할 것입니다. 네잎클로바급 오타입이다.

[ 코인코드 (coincode.kr), 공유 하시게 되면 출처는 꼭 남겨주세요. ]

The post <strong>체이널리시스, “스캠 피해 전년보다 81% 증가한 9조원… 진도지, 스퀴드 등 러그풀 스캠 가파른 증가세 보여”</strong> appeared first on 코인코드.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