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F, 디지털화폐는 더 빠르고 저렴하며 투명한 국경 간 지불 방식을 제공할 것 - 출처 : 경향게임스(https://www.khgames.co.kr)
국제통화기금(IMF)이 9월 월간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의 기술적 능력이 국가 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이하 디지털화폐)의 연계성을 높여줄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은 월간보고서인 ‘신뢰의 기초(A FOUNDATION OF TRUST)’에서 국제결제은행(BIS) 혁신허브의 연구를 인용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화폐는 더 빠르고 저렴하며 투명한 국경 간 지불 방식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상화폐로 수행할 수 있는 합법적인 거래는 디지털화폐를 통해 더 잘 구현될 것이란 게 국제통화기금의 의견이었다.
국제통화기금은 ‘안전과 안정성(Safety and Stability)’, ‘책임성(Accountability)’, ‘효율성(Efficiency)’, ‘포용성(Inclusion)’, ‘이용자 통제(Use control over data)’, ‘보전성(Integrity)’, ‘융통성(Adaptability)’, ‘개방성(Openness)’ 측면에서 현재와 미래의 통화 시스템 및 가상화폐 시장을 분석했다.
분석은 ‘넓은 범위에서 정책 달성’, ‘개선 요망’, ‘충족 안됨’ 등 세 가지 단계로 나뉘었다. 미래의 통화시스템은 향후 국제통화기금의 목표를 반영해 모두 ‘넓은 범위에서 정책 달성’으로 표기됐다.
현재의 통화시스템은 ‘안전과 안정성’ 측면만 ‘넓은 범위에서 정책 달성’이 이뤄졌다고 평가됐으며 나머지 사항은 모두 ‘개선 요망’으로 소개됐다. 반면 가상화폐 시장은 항목에 따라 세 가지 평가 기준이 고르게 산재한 모양새를 나타냈다.
국제통화기금의 ‘신뢰의 기초(A FOUNDATION OF TRUST)’ 보고서(사진=국제통화기금)
가상화폐 관련 항목 중 ‘융통성’과 ‘개방성’은 ‘넓은 범위에서 정책 달성’으로 표기됐다. 그러나 ‘안전과 안정성’, ‘책임성’, ‘효율성’, ‘보전성’ 등에서는 ‘충족 안됨’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

가상화폐 시장 내 개선 요망 사항으로는 ‘포용성’과 ‘이용자 통제’ 등이 있었다. 국제통화기금은 가상화폐 시장이 새로운 기술적 역량을 바탕으로 대중적 상상력을 사로잡았다고 분석했다. ‘전통 금융기관 대체’, ‘결제 프로그래밍’, ‘화폐의 디지털화(토큰)’ 등의 특징은 국제통화기금이 언급한 가상화폐의 기술적 역량이었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은 가상화폐의 경우 사회를 지탱하기 위한 통화시스템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래의 통화시스템은 가상화폐가 입증한 기술적 능력과 중앙은행이 제공하는 신뢰에 기초해야 할 것이란 게 국제통화기금의 입장이었다.
‘거래 수수료’와 ‘분절화’는 국제통화기금이 지목한 가상화폐 시장 내 확장성 저해 요소였다. 국제통화기금은 가상화폐 이용자들의 네트워크 사용이 붐빌 시 ‘거래 수수료’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고, 이는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사용으로 이어져 단편화 현상을 불러온다고 언급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은 중앙은행이 통화시스템 내 신뢰를 바탕으로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길잡이가 되어야 할 것으로 강조했다. 국제통화기금은 “중앙은행들은 지불 시스템의 원활한 기능과 민간 서비스에 대한 규제 감독을 통해 그들의 무결성을 보호할 책임이 있다”라며 “통화시스템이 나무라면 중앙은행은 단단한 줄기고 은행 등 민간 제공자는 가지다”라고 말했다.
출처 : 경향게임스(https://www.khgames.co.kr)
FINTECH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