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가 현실로•••끊임없이 축적 빅데이터, 개인정보 악용에 윤리성 논란



“구글은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가장 적합한 답을 줄 것입니다. 인공지능(AI)은 구글의 최종 도착지입니다.”(래리 페이지 구글 공동창업자)


최근의 첨단 정보기술(IT) 흐름을 그대로 반영한 듯한 이 같은 발언은 놀랍게도 초고속인터넷이 막 보급된 지난 2000년에 나왔다. 여느 인터넷 기업처럼 검색엔진으로 출발한 구글은 이미 18년 전부터 이처럼 명확한 지향점을 설정해 달려왔다.


 그리고 자회사 딥마인드의 AI 엔진 ‘알파고’가 2016년 3월 세계 최고의 바둑 기사 이세돌 9단을 꺾으면서 장기과제가 완성단계에 왔음을 스스로 증명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같은 해 5월 지주회사 ‘알파벳’ 주주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AI 퍼스트 시대로 옮겨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바야흐로 구글 중심의 ‘AI 시대’를 회사 안팎에 선언한 것이다.


■ 공상이 현실로•••사람같은 로봇 상담•••자율차 독주•••압도적 AI로 산업 선도


AI는 2010년대 들어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사용자의 검색•위치•소비정보가 과거와 비교하면 훨씬 많은 규모로 쌓여 빅데이터를 형성하면서 자연스럽게 발전됐다.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는 머신러닝 기술력도 덩달아 향상됐다. 결국 검색엔진부터 지도•e메일 등 구글의 수많은 서비스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된 전 세계 76억명 인구의 ‘개인정보’를 먹고 구글의 AI 기술은 발전을 거듭한 것이다.


구글의 AI 기술은 이미 사람의 생활 깊숙이 파고들었다. 스마트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구글렌즈’부터 ‘구글번역’, e메일 기능인 ‘지메일’까지 흔히 사용하는 구글 서비스 대부분에는 AI 기술이 적용됐다. 특히 AI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대화(언어처리)’ 영역에서 구글의 성과는 가장 탁월한 것으로 꼽힌다.


 올해 5월 미국 구글 본사에서 열린 개발자 행사(구글 I/O)에서는 사람이 자연스럽게 쓰는 감탄사나 의성어까지 재현한 AI 상담원 ‘듀플렉스’가 공개돼 세상을 다시 한 번 놀라게 했다. 듀플렉스는 자연어처리(NLP)와 딥러닝(심층 기계학습) 등을 결합한 기술로 기계처럼 딱딱하게 말하던 기존 AI와 달리 ‘사람처럼’ 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구글의 전방위적인 AI 기술 진화 양상을 두고 ‘플랫폼의 제국’을 쓴 스콧 갤러웨이 미국 뉴욕대 스턴경영대학원 교수는 “이미 사람의 ‘뇌’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짚었다.


이처럼 구글이 놀라운 속도로 AI 기술을 발전시킴에 따라 ‘공포감’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AI 기술을 검색엔진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해 엄청난 데이터를 축적한 구글이 이용자들의 성향과 행적 등을 속속들이 파악해 다양한 용도로 악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구글은 검색엔진뿐 아니라 AI스피커와 안드로이드오토 등 다양한 경로로 이용자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이러한 엄청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을 묶어 놓고 수집된 개인 정보를 마음대로 활용하는 등 ‘빅브러더’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구글코리아는 지난해 말 안드로이드폰 이용자의 동의 없이 개인의 위치정보를 본사로 전송한바 있다.


윤리성과 도덕성 논란도 여전하다. 구글이 듀플렉스를 공개했을 때 미국 내 유력 언론과 IT 전문가들은 “AI 로봇이 인간을 속여 대화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았다. 구글은 듀플렉스가 AI라는 점을 밝히고 녹음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담원 역할을 하도록 조처할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또 고도화한 AI 기술이 대량살상무기에 적용돼 ‘살인병기’로 돌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끊이지 않는다. 구글이 미 국방부와 AI를 활용한 무기 성능 향상 사업인 ‘메이븐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은 점화됐다. 구글은 비판이 이어지자 메이븐 프로젝트 참여를 취소했다. 제프 딘 구글 선임연구원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우리는 AI를 활용한 자율작동무기 개발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확정했다”고 해명했다.


■ 年 투자금액 40% 쏟으며 바이오 공략… 검색부터 배달까지, 유통 지배력 확대


PC 검색엔진으로 시작한 구글은 20여년 만에 모바일 운영체제(OS)와 모바일검색, 지도, 동영상 스트리밍 등 전 세계의 모든 정보기술(IT) 생태계를 주도하는 ‘공룡’으로 성장했다. 고속성장의 배경은 과감한 인수합병(M&A)과 공격적인 투자다. 지난 1998년 설립 이후 구글이 최근까지 인수한 기업 수는 260여개에 달한다. 지금의 구글맵과 구글어스(위성영상지도)의 근간이 된 디지털 지도회사 ‘키홀’, 애플 iOS와 쌍벽을 이루는 모바일OS ‘안드로이드’가 대표적이다. 2006년 1억6,500만달러(약 1조8,702억원)라는 천문학적인 가격에 사들인 유튜브는 지금은 수백 배가 넘는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성장했다.



최근에는 바이오와 유통으로까지 눈을 돌렸다. 특히 바이오•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구글의 야심은 놀라울 정도다. 구글 지주회사인 알파벳의 자회사로 벤처투자를 전담하는 구글벤처스는 2015년부터 최근까지 약 58건의 바이오기업 투자를 진행했으며 이의 절반이 넘는 27건이 지난해에 집중됐다. 연간 투자금액 중 바이오의 비중은 40%에 이른다. 대표적인 업체가 그릿스톤이다. 구글벤처스를 비롯한 10개 투자사로부터 9,270만달러(약 1,050억원)를 투자받은 이 업체는 머신러닝으로 환자 정보를 분석해 개인별로 특화한 암 면역치료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이밖에 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 개발업체인 드날리테라퓨틱스와 개인 유전자 분석 서비스 제공업체인 23앤드미, 암 데이터 분석용 클라우드 플랫폼인 플래티런헬스 등이 구글벤처스의 투자를 받았다.


구글의 비밀 연구개발 전담조직인 구글X에서 독립조직으로 분사한 알파벳의 자회사 버릴리는 제약사들과 협력해 의료기기를 만들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와는 당뇨와 바이러스•콜레스테롤 등 다양한 신체지표 및 질병 진단이 가능한 스마트렌즈를 개발 중이고 사노피와는 각 2억5,000만달러(약 2,830억원)를 투자해 만든 온듀오라는 조인트벤처를 통해 당뇨환자 통합관리 시스템을, 존슨앤드존슨과는 오는 2020년 출시를 목표로 초소형 외과수술 로봇을 제작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머신러닝을 활용, 혈액을 통해 초기 암을 진단하는 프리놈에 6,500만달러(약 700억원)를 투자하고 버릴리 사옥 내에 임상실험실로 쓸 공간을 마련해주기도 했다.


유통 분야의 지배력 확대에도 나서고 있다. 5월 월마트와 손잡고 인도의 1위 전자상거래 업체인 플립카트 지분 75%를 약 150억달러(16조2,000억원)에 인수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중국 2위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에 5억5,000만달러(약 5,912억원)를 투자했다. 구글은 앞서 2013년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채널인텔리전스를, 2014년에는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 출신들이 만든 온라인시장 가격예측 서비스 업체 레인지스팬을 인수하며 자체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경쟁력을 높여왔다. 이번 투자를 두고 구글이 인도•중국 등 구매력을 갖춘 시장을 대상으로 검색과 결제•배달까지 연결해 원스톱 온라인쇼핑 체계를 갖춤으로써 아마존과 본격적인 경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구글이 바이오와 유통 분야로까지 진출하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기존에 보유한 기술을 활용해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민세주 포스코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전자의무기록 활용 비율 증가와 제도권 의료기관 확대로 바이오 산업의 핵심요소가 데이터와 의료기기 기술력으로 변화하며 IT 기업이 이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구글 관계사들이 투자한 업체 중 상당수는 머신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업들이다.


나아가 개인의 일상에 더 깊숙이 파고들어 전 세계의 모든 사람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 데이터가 만들어낼 수익을 독식하겠다는 야심도 사업 다각화의 배경으로 꼽힌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검색엔진에서 시작한 구글은 이용자의 체류시간이 곧 수익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안다”며 “이용자가 찾으면 답을 주는 기술이 아니라 이용자에게 먼저 답을 제안하는 기술로 개인 일상과 관련된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것이야말로 구글의 궁극적 목표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