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성아 한빗코 가상화폐 거래소 대표
사진=김성아 한빗코 가상화폐 거래소 대표

[인터뷰] 김성아 한빗코 대표,"리브랜딩 목표...금융을 기반으로하는 암호화폐 시장의 성숙"

김성아 한빗코 신임 대표는 김지한 전 대표에 이어 암호화폐 거래소 한빗코를 이끌게 됐다. 

김성아 대표는 한국 최초 거래소 코빗 거래소 PM을 시작으로 암호화폐 트레이딩 투자회사인 엘조비(ELJOVI) 파트너 및 엘조비 글로벌 펀드 디렉터(ELJOVI global fund director) 그리고 한빗코 상무를 역임했다. 

본지는 김성아 한빗코 대표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Q1. 시장이 어려운 시기에 가상화폐 거래소 한빗코 대표직을 맡게 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리고 블록체인 서바이벌 '블록배틀' 심사위원으로 활동이 인상 깊었는데요. 우선 본인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2015년도에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에서 PM으로 들어가기전 선물옵션트레이딩을 주로 해왔었지요. 이후 크립토쪽 투자회사의 엘조비의 파트너로 오게 됬습니다. 

엘조비에서 투자한 포트폴리오 중 하나가 한빗코였었습니다.

한빗코의 런칭은 제네시스마이닝,실리콘 밸리 투자자 쪽,페이먼트 쪽 분들과 함께 준비했습니다.

Q2. 가상화폐 거래소 한빗코를 앞으로 어떻게 이끌고 가게 될 지 궁금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거래소로 가기 위한 길은 단순하지만 어렵습니다.

저희가 생각하는 방식은 유저들 혹은 디앱들에 Friendly(친숙)한 방향으로 갈 것같습니다.

기존 금융 시장에서의 가치나 보상모델 이외에 소비자가 누리지 못했던 것을 저희가 해보려고 합니다.

현재의 리브랜딩의 목표는 암호화폐 시장의 단순 확대보다는 금융을 기반으로하는 암호화폐 시장의 성숙입니다.

한빗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해서 암호화폐가 들어간 금융개념과 가치를 소비자들이 누릴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영역을 확대해 나갈 생각입니다.

법제화와 같은 Compliance영역은 기존부터 계속 노력을 해 나갈 부분입니다.

거래소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 단기적인 목표입니다.

이후는 디앱들이 필요한 거래소가 되기 위한 전략을 진행해 나가야 할 것같습니다.

사진=김성아 한빗코 가상화폐 거래소 대표
사진=김성아 한빗코 가상화폐 거래소 대표

Q3. 한빗코는 STO(Security Token Offering,증권형 토큰 공개)에 유달리 관심이 큰 것으로 알고 있어요. 증권형 코인의 투자기회를 마련해 전통적인 금융시장과 융합 시도를 계속 계획하고 있는지요.

미국에서 STO 2개가 라이센스를 받아 상장돼 실제적으로 거래되는 플랫폼이 있습니다.

오픈 파이낸스 네트워크라는 곳은 증권사 라이센스가 원래 있는 곳입니다. 증권사 쪽 브로커들이 경쟁이 심합니다.

이에 라이센스를 살려서 시큐리티 토큰을 리스팅해서 트레이딩하게 해주는 플랫폼을 만든 것입니다.

이 같이 STO는 공개시장의 틈새시장이라고 봅니다. IPO는 진입장벽이 크고 비용이 많이 들어갑니다.

STO는 모든 것을 공개할 의무는 없고 비용도 적게들어가 reach market으로 보여지고 있는 거죠.

회사가 될 수있고, 펀드가 될 수 있고 모양새를 갖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회사 공개가 수월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토큰이라서 다른 토큰으로의 전환도 가능할 수 있겠죠.

미국같은 경우는 STO를 그냥 증권으로 봐서 기존 법제화 된 틀 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더욱 빨리 진행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Q4.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STO가 논의 단계이지 활성화 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들이 많아 보이는데요. 흔히 말하는 토큰 이코노미의 시발점은 STO가 자리를 잡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은 증권으로 본다 이런식으로의 논의가 시작이되고 규제가 생기면 비즈니스가 커질 수 있겠습니다.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등 외의 다른시장으로 STO가 동등하지 않지만 그 정도 급의 새로운 시장이 생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게임이 영역이든 어떤 영역이든 토큰 이코노미가 들어갔을 때 어플리케이션이나 디앱스가 좋아지는 모델이 있습니다. 

토큰 이코노미의 새로운 면 이라는 거죠. 예를 들면 신뢰하지 않는 상황에서 프로그램으로 신뢰를 만들어내서 이코노미를 만들어내는 부분은 굉장히 새롭습니다. 

이 같은 부분이 기본적으로 형성되면 대중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전달할 수 있겠습니다. 디앱들이 활성화가 되면 유저가 많이 들어올수 있겠죠.

규제나 법제화 같은 부분은 시큐티티 토큰을 기존 자본시장과 어떻게 연결시키느냐가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겠습니다. 

디앱스와 같은 Vehicle이 기본적으로 수익창출에 기여를 한다고 보면 될거 같아요. 

이오스, 트론 같은 것도 주목은 받지만 전반적으로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관건은 유저들이 많이 들어오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 될 것같습니다.

 

한빗코, 스토리체인과 MOU체결(왼쪽부터 한빗코 허원호 부장, 한빗코 샘 킴 매니징 디렉터, 한빗코 김성아 대표, 스토리체인 이준수 대표, 스토리체인 경호연 책임, 스토리체인 정윤철 감독)
한빗코, 스토리체인과 MOU체결(왼쪽부터 한빗코 허원호 부장, 한빗코 샘 킴 매니징 디렉터, 한빗코 김성아 대표, 스토리체인 이준수 대표, 스토리체인 경호연 책임, 스토리체인 정윤철 감독)

 

Q5. 마지막 질문입니다. 중앙화 거래소인 한빗코도 탈중앙화 거래소와 경쟁을 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한다고 보는지요.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바로보는 관점은 어떤가요.  

탈중앙화의 유저층과 중앙화 거래소 유저층이 다릅니다.

웹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쓸 수 있는 지갑인 탈중앙화 거래소는 쓰기는 쉽지만 보안을 자기가 관리하는 것이죠. 

그렇게 쉬운 경험은 아닙니다. 본인이 키 관리를 해야되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보상받기도 어렵죠. 탈중앙화 거래소가 매스어답션(다수의 소비자 층)이 되려면 이런 유저들이 늘어나야 합니다.

중앙화 거래소 유저층은 내가 지갑 관리를 하지 않겠다는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암호화폐를 거래하고 싶은 사람들이죠. 내 키를 잃어버리거나 이런 보안 때문에 신경쓰기싫은 층이죠.

암화화폐와 블록체인, 두 가지 기술이 같이 가는 방향으로 보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원하는 기술들도 써봐고 상호작용이 있어야 그 방향으로 갈 수 있는 근거가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도 인터넷이 풀리기전에 인트라넷을 3년정도 써본 것이죠. 

기술의 확장성이 블록체인의 핵심이라고 봅니다. DB기술이 중심이라는 것이죠.

보상체계를 관리를 하는 원장을 누가 가지고 있느냐의 문제에서 회사냐 블록체인이냐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참여자들의 보상과 함께 유저 경험의 신뢰와 기술을 쌓아 나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