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데이터 스크래핑이 전면 금지될 것이라는 시장의 논란이 일단락됐다. 데이터 스크래핑은 고객들이 한 번만 자신의 인증정보를 제공하면 컴퓨터가 대신 금융기관, 대법원 등 데이터 시스템에 접속해 고객들 데이터를 긁어다 주는 기술이다. '뱅크샐러드' '토스' '보맵'처럼 일일이 인증서 비밀번호를 넣지 않아도 통합해 자산을 관리해 주는 핀테크 서비스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최근 금융위원회가 일부 스크래핑 기술들에 대해 일정 유예기간 이후 전면 금지하겠다고 밝히면서 시장의 우려는 극단적으로 커졌다. 특히 스크래핑 기술은 한국이 앞서나가는 분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어 '시대를 역행하는 규제 사례'라는 비난이 잇따랐다.


 금융위원회와 핀테크산업협회 등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24일 오후 간담회를 갖고 데이터 스크래핑 관련 규제개혁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금융위는 스크래핑 업체들이 개인 이용자들의 인증정보를 직접 보관하고 있지만 않으면 스크래핑 행위 자체를 금지하지 않겠다는 뜻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개인 단말기에 보관하는 등의 방식이라면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스크래핑 업체들이 개인 인증정보를 대량으로 갖고 있으면 해킹의 표적이 될 수 있고, 저장된 인증정보를 삭제•폐기하지 않으면 피해가 커질 수도 있다"며 "데이터 서비스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라도 스크래핑 업체들이 인증정보를 보관하고 있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스크래핑을 전담하는 정보기술(IT) 핀테크 회사들은 "오해가 많이 풀렸다"는 반응이다. 스크래핑을 전면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면 우회할 수 있는 방법들은 있기 때문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업체 관계자는 "서버에 인증정보를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스마트폰•PC 등)에 저장하는 방식이라면 충분히 기존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와 스크래핑 업체들은 향후 이 기술을 어떻게 허용할 것인지에 대해 추가적인 협의를 해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