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드론산업 육성을 위해 5년간 공공 분야에서 3천500억원을 투입해 마중물로 삼는다. 드론산업 발전을 위해 규제를 최소화하고 한국형 드론산업에 세계 표준이 되도록 지원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2일 오후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드론산업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관계부처·기관 등 의견 조율을 거쳐 지난달 경제관계장관회의 심의를 마쳤다.


국토부는 2026년까지 현재 704억원 규모인 드론 시장을 4조4천억원으로 성장시키고, 기술경쟁력 세계 5위권 진입, 사업용 드론 5만3천대 상용화 등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태동기인 국내 드론산업의 빠른 성장을 위해 공공부문이 마중물이 된다.


정부는 국가·공공기관의 다양한 업무에 드론을 활용해 5년간 총 3천700여대, 3천500억원 규모의 드론 시장을 창출할 방침이다.


공공분야 드론 활용 촉진을 위해 민관이 참여하는 '드론산업진흥협의회'를 구성, 국산제품 구매를 장려하고 우수제품에 대한 조달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분야별로는 실측 등 작업의 정밀도 향상, 위험한 작업에 드론을 투입한다. 드론을 통해 효율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고 비용절감 효과도 뛰어나다.


공공건설, 도로, 철도 등 시설물 관리과 하천, 해양, 산림 등 자연자원 관리 등 분야에서도 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실종자 수색, 긴급 구호품 수송, 사고·재난지역 모니터링 등 '골든타임' 확보가 중요한 치안·안전·재난 분야에도 드론을 투입한다.


국공유지 실태 조사, 농업면적 조사 등 각종 통계 조사에도 드론을 이용하면 빠르고 정확한 대규모 조사가 가능하다.


정부는 25㎏ 이하 드론의 경우 공공조달 시 국산제품을 우선 구매하도록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한 바 있다. 내년 2월에는 국내 직접 생산확인 기준을 마련하는 내용으로 제도를 보완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인력과 장비를 갖추고 드론 운영을 활성화하는 선도기관을 분야별로 지정해 효율적인 드론 운영 모델을 확산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