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가상화폐 규제 시 강도를 점진적으로 높이거나 소비자, 산업계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예측 가능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사진:핀테크포스트)

정부는 가상화폐 규제 시 강도를 점진적으로 높이거나 소비자, 산업계에 미칠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예측 가능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시장에 충격을 주는 것이 아니라 시장참여자들이 안전하게 거래하고 투자하는 것을 돕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가상화폐 규제의 세 가지 목표로 ▲투자자 보호 ▲불법자금 차단 ▲신산업 진흥 등이 제시됐다.


투자자 보호의 경우 거래소 규제를 중요 요소로 지목됐다. 가상화폐 거래소의 등록, 운영 등 기준을 마련해 기존 통신판매업자와 차별하고, 거래소 등록 기준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단순히 가상화폐만 교환하고 거래토록 하는 중재 기관으로 제한하는 방안도 제기됐다


김 교수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암호체계와 ICO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암호화폐 투자적격업체를 지정해야 한다”며 “거래소 등의 보안수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엄격하게 관리 감독을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말했다.


원종현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가상통화를 둘러싼 기술을 최대한 존중하는 영역에서 가상통화가 거래되는 시장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한다는 기본방향을 일관되게 유지해야 한다”며 “중개업자의 영업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기 위해 거래소 등록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가상화폐 거래 규제와 블록체인 기술을 분리해서 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블록체인은 미래 기술로서 개발을 진흥하되, 가상화폐 거래는 투기 과열과 범죄, 사기 등에 활용될 여지가 있어 부작용을 차단하기 위한 규제는 필요하다는 것이다.


강영수 금융위원회 가상통화대응팀장은 “일부에서 가상화폐 거래 규제가 블록체인 기술혁신을 저해한다고 오해하고 있어 이를 분리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라며 “가상화폐 거래의 부작용에 대한 대응은 세계 각국이 직면한 정책적 도전과제다. 정부는 블록체인 기술의 응용기술 개발 등 활용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는 소비자와 산업계 입장을 아우를 수 있는 정책 마련에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이학영 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는 소비자피해 에민감하다. 특히 금융 분야는 소비자피해가 발생하면 겉잡을 수 없이 커진다”라며 “아무래도 국회는 소비자쪽에 관심이 많지만 산업계는 산업계 나름대로 기술 발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리나라가 새로운 불륵체인 산업을 육성하고 도입하는 것을 이끌면서 선의의 피해자가 없도록 정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차현진 한국은행 금융결제국장 역시 "가상화폐와 현금의 교환, 즉 P2P 거래를 제한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가상통화 간의 거래인 ICO를 금지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장기적으로 규제할 필요가 없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어 그는 "기업공개(IPO)와 크라우드 펀딩 등과 비견되곤 하는데, IPO의 경우 투명성 차원에서 ICO와 비교하기 힘들다"며 "정보 비대칭 문제 등으로 인해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규제를 통해 ICO의 투명성도 IPO수준으로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