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관련 전문가들 이구동성

암호화폐공개(ICO)를 둘러싼 업계 관계자들의 고민이 깊다. 특히 한국정부가 정책적으로 ICO에 대한 억제를 시도하는데다가 기성 금융권마저 시장잠식을 우려해 배타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지혜와 노력을 모으기 위해 국내외 관련자들이 모였다. 23일 서울 장충동 앰버서더호텔에서 열린 '블록체인 컨퍼런스 서울 2018'이 그 것이다.


이날 참석자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사례를 공유하며 블록체인의 장점인 보안성·투명성·경제성 등에 대해 강조했다. 암호화폐공개(ICO)라는 자금 조달 방식을 활용해 보상과 욕구의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다.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에게 암호화폐를 지급해 콘텐츠 질을 올리고, 소비자에게는 중개 수수료 거품을 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먼저 블록체인 기반 동영상 플랫폼업체 베라시티의 공동 창업자 아담 사이몬즈는 “동영상 콘텐츠 거래를 인위적으로 하지 않고 자연적 순환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며 “기존 동영상 플랫폼과 달리 스폰서 집단인 뷰어와 광고주의 거래가 직접 이뤄져 거래 투명성을 높이고 중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영국에서 스타크래프트2 등 게임 방송 크리에이터였던 사이몬즈가 창업한 동기도 유튜브와 트위터의 높은 중개 수수료 등 기존 동영상 플랫폼의 비효율성 때문이다. 사이몬즈는 “블리자드에서 요청한 게임 콘텐츠를 제작해 방송했으나 돈벌이가 되지 못해 콘텐츠 질 저하로 이어졌다”며 “크리에이터가 돈을 벌어 고품질 콘텐츠를 생산·판매하고, 축적한 부를 뷰어에게 나눌 방법을 고민하다가 창업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생태계는 암호화폐 ‘베라’를 기반으로 한다. 베라시티에서는 ‘스파크 마켓플레이스’라는 장터를 운영한다. 이 장터에서 베라를 활용해 카메라 등 방송 콘텐츠 장비를 구매할 수 있다. 다음 콘텐츠 생산 활동을 하는 데 동기 부여 얻을 수 있는 점이다. 사이몬즈는 “베라 활용을 장려하면 생태계 활성화를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베라시티는 블록체인 프로그램으로 동영상 조회 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도 갖추고 있다. 광고주와 뷰어 모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성과 장기적인 효율성을 보존할 수 있다는 게 사이몬즈의 설명이다.


그는 한국을 매력적인 시장으로 손꼽았다. 암호화폐 거래량이 많고 동영상 플랫폼의 핵심 콘텐츠인 게임에 관심이 많다는 이유에서다. 베라시티 입장에서는 최적의 시장인 셈이다. 사이몬즈는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거래 30%가 한국에서 이뤄져 ICO 콘텐츠 시장으로서 매력적이다. 여기에다 게임 강국인 점을 고려하면 비즈니스 모델이 한국에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을 중요한 블록체인 시장으로 보는 시각은 다른 발표자도 다르지 않았다. 홍콩 ICO 컨설팅 업체 레벨 컨설팅의 블록체인 컨설턴트 모리 지는 “한국이 암호화폐 정책이 불안정하지만 규제 완화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며 “기술 수준을 생각하면 아시아에서 특히 한국과 일본 시장 영향력을 제외하고 생각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블록체인 관계자들은 관련 규제 완화를 기대하면서도 적정 수준의 규제는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학위 인증업체 스킬체인(Skillchain)의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알피오 바르돌아는 “ICO 규제가 강한 스위스에 본사를 뒀다. 까다로운 규제가 투자자 입장에서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며 “스위스에서는 재정 능력, 환경 요건 등을 보는데 이런 규제를 통과했다”고 말했다. 스킬체인은 학위 이수 증명서나 재학 증명서 등을 검증할 수 있는 통합 체계를 제공한다.


이들 업체 외에도 이날 행사에는 블록체인 기반 싱가포르 관광업체 ZATGO와 말레이시아 부동산 업체 코인베네, 싱가포르 코워킹 스페이스 업체 액손 등이 참가해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했다.


:참고:


블록체인은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에 저장하는 기존 거래 방식과 다르다. 거래 데이터가 분산돼 있어 위·변조가 어렵고, 모든 사용자가 정보에 접근 가능해 투명하다는 장점이 있다. 중앙 집권형 시스템을 거치지 않아 중개 수수료도 대폭 낮출 수 있다. 반면, 문제 발생 시 책임 소재 불분명 등은 단점으로 꼽힌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