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내년 중반까지 4000弗 도달"

금 이미지. [픽셀스 제공]
금 이미지. [픽셀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따른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했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6월물 금 선물 가격은 이날 한국시간 오후 3시 45분 기준 전장 대비 2.27% 오른 온스당 3404달러를 기록했다. 사상 처음으로 3400달러선을 돌파한 것이다. 금 현물 가격도 이날 장중 3393.34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시간 오후 3시 58분 기준 전장 대비 1.96% 오른 3391.9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금 현물 가격은 올해 들어 29% 넘게 뛰었다. 최근 10거래일간 저점 대비 14% 넘게 올랐다.

미국의 관세정책과 그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달러화 약세와 미 국채 등 달러 표시 자산 매도 움직임,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집,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유입 등이 금값 상승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금 ETF 보유 규모는 2022년 이후 최장인 12주 연속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글로벌 IB들은 이미 금 가격 전망치도 잇따라 상향조정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금 선물 가격 전망치를 종전 온스당 3300달러에서 3700달러로 높였다. 골드만삭스는 내년 중반까지 금값이 4000달러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기했다. 글로벌 IB인 UBS 역시 금값이 올해 말까지 3500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이날 시장 흐름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 사임을 압박한 것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7일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하면서 "내가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사퇴를 압박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하루 뒤인 18일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은 그 문제(해임 가능성)에 대해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한국거래소 국내 금시세(원/g)는 전일 대비 1.68% 오른 15만4820원에 마감했다. 나흘 연속 상승세다. 한돈(3.75g) 기준 58만575원이다. 순금 한 돈(3.75g) 기준으로 살 때는 67만원이고 팔 때는 55만7000원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