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 3대 주가 지수가 강세로 장을 마쳤다.
미국과 중국 간 강대강 각을 세웠던 무역전쟁에서 협상 타결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지난달 미국 일자리가 양호한 증가세를 기록한 것도 미국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64.47포인트(1.39%) 상승한 4만1317.43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82.54포인트(1.47%) 오른 5686.68에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266.99포인트(1.51%) 뛴 1만7977.73에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이날 상승으로 9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탔다. S&P 500 지수가 9거래일 연속 상승한 것은 2004년 11월 이후 약 20년 만이다.
S&P 500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발표로 뉴욕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기 직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며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됐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최근 여러 차례 당국자를 통해 중국에 적극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우리와의 대화를 바라고 있다"고 했다.
앞서 중국 CCTV 계열 소셜미디어는 미국이 중국에 대화 의사를 타진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날 중국 상무부의 논평은 이러한 맥락으로 해석된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역시 전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측이 미국을) 만나고 회담하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직전까지도 우호적인 분위기는 아니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정부 각료들은 중국이 미국과 대화를 원하고 있다고 메시지를 보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이를 부인하면서 미·중 무역협상이 답보 상태에 머물러있다는 시각이 우세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양국 협상 분위기가 개선됐다는 점을 확인하자 증시는 반응했다.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이날 아시아장에서 중국 정부의 발표가 나온 뒤 급등세를 탔다.
미국 4월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견고하게 나오면서 증시를 지원했다.
미국 노동부는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전월보다 17만7000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13만명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