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년 만에 백악관에 재입성했다. [미국 백악관 홈페이지 갈무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년 만에 백악관에 재입성했다. [미국 백악관 홈페이지 갈무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외 국가에서 촬영된 미국 영화에 100% 관세를 물리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자국 영화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하지만 영화가 일반 상품처럼 물리적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관세가 어떤 방식으로 부과될지는 불명확하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4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 영화 산업은 매우 빠르게 소멸하고 있다"며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도록 지시했다.

영국과 캐나다 등 외국 정부가 미국의 영화 제작사들을 상대로 각종 인센티브를 제시하면서 자국으로 유인하는 현상이 미국의 영화산업에 타격이 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일례로 올해 최고의 흥행작으로 꼽히는 '마인크래프트 무비'는 캐나다에서 촬영됐고, 올여름 블록버스터로 기대되는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도 대부분 미국외 지역에서 촬영됐다.

특히 영국 런던은 할리우드 영화 촬영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디즈니 마블 스튜디오는 2편의 어벤져스 속편을 런던에서 촬영하고 있다.

이같이 할리우드 영화에 대한 외국 정부의 인센티브 제공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국가들의 조직적인 시도이고 미국 안보에 대한 위협"이라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할리우드와 미국 내 다른 지역들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며 "우리는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를 원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할 경우 관세 부과 등으로 수입 제한 조치를 내릴 수 있다.

다만 관세 부과가 실제로 어떻게 이뤄질지 불분명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외국에서 촬영된 미국 영화를 '수입품'으로 정의할 기준과 함께 관세를 적용할 영화의 가치 산정 기준이 모호해서다.

외국이 미국 영화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경우 할리우드에 오히려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할리우드의 흥행작들은 외국 시장에서 수익의 상당 부분을 올리고 있다는 점에서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